계획은 장기 투자였지만, 마음은 매일 흔들려요
주식 투자 처음 시작할 때 다짐했습니다.
“나는 단타 안 할 거야. 장기 투자자로 갈 거야.”
그리고 좋아 보이는 기업을 샀습니다.
그런데요…
3일 지나고 마이너스 5%,
뉴스 하나 나오고 주가 출렁일 때,
속으로 이렇게 말하고 있더라고요.
“이거… 지금 팔아야 하는 거 아니야…?”
오늘은 저처럼 ‘장기 투자자’로 시작했지만, 중간에 흔들렸던 순간들,
그리고 그런 상황에서 제가 어떻게 기준을 세웠는지 이야기해볼게요.
🤯 장기 투자 중간에 흔들리는 대표적인 순간들
1. 단기 악재 뉴스가 나왔을 때
예: “공급망 차질”, “실적 하락 예상”, “임원 사임”
→ “이거 오래 들고 있어도 괜찮은 걸까?” 심리 불안감 상승
2. 계좌가 파랗게 물들었을 때
→ -10%, -15%… “여기서 더 떨어지면 어쩌지?” 공포감
→ 나도 모르게 매도 버튼 근처를 서성거리게 됨
3. 다른 종목이 더 빨리 오를 것 같을 때
→ “이거 팔고 저 종목으로 옮기면 수익 더 나지 않을까?”
→ 원래 목표는 사라지고 ‘지금 눈앞의 수익’에 집중하게 됨
✅ 그럴 때, 저는 이렇게 판단했어요
체크 항목 | 질문 | YES일 때 |
투자 전제는 여전히 유효한가? | 이 기업의 성장성과 비즈니스 구조는 유지되고 있나? | 계속 보유 |
하락 원인이 일시적인가 구조적인가? | 악재가 단기 뉴스인지, 업종 자체 문제인지? | 일시적이면 보유 |
처음 정한 목표 수익/기간을 넘겼는가? | 이미 내 기준에 도달했거나 틀어졌나? | 매도 고려 |
다른 투자 기회가 훨씬 더 매력적인가? | 기회비용을 따져볼 정도인가? | 리밸런싱 고려 가능 |
👉 감정이 아니라 처음 세운 투자 시나리오에 근거해서 판단하면
불필요한 손절이나 흔들림을 줄일 수 있어요.
🧠 제 실제 사례
✔️ 삼성전자 우선주 투자 (예전)
- 계획: 2년 장기 보유 + 분기 배당 수익
- 중간에: -12% 하락 + 외국인 매도 뉴스
- 고민: “팔까 말까…” 1주일 고민함
- 결론: 실적 & 배당 유지 확인 → 그대로 보유
결과: 배당 받으며 점진적 회복 → 현재는 손익 +10% 수준
📌 느낀 점:
“뉴스에 흔들리지 말고, 기업을 보자”
내가 왜 샀는지를 끝까지 기억하는 게 진짜 장기 투자자의 태도
🛠️ 장기 투자자의 ‘심리 방어 체크리스트’
- “하락이 무서우면, 비중 조절로 대응하자”
- “다른 종목이 오를 때 질투하지 말자. 나는 내 길을 간다”
- “계좌는 자주 보지 말자. 특히 장중에는 더더욱”
- “기업 분석을 다시 해보자. 믿을 수 있는 이유가 남아 있는가?”
✔️ 이렇게 심리적 기준을 정리해놓으면
흔들릴 때마다 “팔지 말고, 한 번 더 생각하자”는 브레이크가 생깁니다.
✍️ 마무리하며…
장기 투자는 마음으로는 가장 쉬운 전략처럼 보여도,
실제로는 가장 어려운 전략입니다.
주가는 늘 오르내리고, 뉴스는 매일 나옵니다.
중간에 흔들리는 건 당연해요.
하지만 흔들릴 때마다 “팔고, 갈아타고” 반복한다면
결국 남는 건 수수료와 멘탈 소모뿐이겠죠.
내가 처음 설정한 ‘투자의 이유와 목표’
그것만큼은 주가가 흔들려도 지켜보세요.
시장보다 흔들리지 않는 사람만이
‘장기 투자자’라는 타이틀을 가질 수 있습니다. 😊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TF 말고 ETN도 있다는데, 차이가 뭐예요? (0) | 2025.04.11 |
---|---|
주식 앱 말고, 진짜 도움 됐던 투자 도구/사이트 추천 (0) | 2025.04.10 |
처음 알게 된 ‘장 마감 후 발표’의 영향력 (0) | 2025.04.09 |
내가 주식으로 잃은 돈, 지금은 이렇게 생각해요 (0) | 2025.04.09 |
배당주 처음 투자해보고 느낀 점 (0) | 2025.04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