뉴스는 장중에만 나오는 게 아니더라고요… 그걸 몰랐던 때의 나에게

주식 시장에 처음 들어왔을 땐,
“장이 열려 있어야 무언가 일어난다”고 생각했어요.

 

그런데 어느 날,
장 마감 후에 발표된 뉴스 하나로
다음 날 내 계좌가 요동치는 걸 직접 겪고 나서야 알게 됐습니다.

❝ 장이 닫혀 있어도, 시장은 계속 움직이고 있다 ❞

 

오늘은 장 마감 후에 나오는 발표나 뉴스가
어떤 식으로 주가에 영향을 주는지

제가 겪은 실제 사례와 함께 이야기해볼게요.


📌 장 마감 후 발표란?

일반적으로 국내 주식 시장은 오후 3시 30분에 마감되죠.
그 이후 시간(3:30~오후 6시 혹은 그 이후)에
기업들은 다음과 같은 정보를 발표합니다:

  • ✔️ 실적 발표 (분기·연간)
  • ✔️ 배당금 결정
  • ✔️ 신규 사업 진출
  • ✔️ 자사주 매입 or 유상증자
  • ✔️ 내부자 거래 공시, 임원 변동 등

그리고 이 발표들은
다음 날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.


📉 실제 사례: 제가 겪은 ‘장마감 후 발표 쇼크’

어느 날, 제가 보유하고 있던 B기업.
장중에는 별다른 움직임 없이 소강 상태였어요.
그래서 “오늘은 조용하구나~” 하고 방심했죠.

그런데…

 

장 마감 후 5시경, IR 공시 발표
→ “2분기 영업이익 -70% 급감”
→ 다음 날 개장과 동시에 -9% 급락

 

🧠 당시 느꼈던 생각:

“아, 이래서 뉴스는 장 끝나고도 계속 체크해야 하는구나…”


🔍 장 마감 후 발표가 왜 중요한가?

  1. 기관/외국인 투자자들은 이 발표를 기준으로 다음 날 매수/매도를 설계합니다.
  2. 프리마켓(장전 시간외) 거래량이 증가하며, 다음 날 시초가에 큰 영향을 줍니다.
  3. 개미 투자자 입장에선 '자고 일어났더니 급등/급락'이 되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.

✅ 장 마감 후 정보 체크 루틴 (제가 하는 방법)

시간대 확인할 것  어디서?
오후 4시~6시 공시(전자공시시스템 DART) https://dart.fss.or.kr
오후 5시 전후 실적 발표 일정, 배당 공지 증권사 MTS, 네이버 금융
오후 8시 이후 종목 뉴스 브리핑 네이버 뉴스, 투자 커뮤니티

✔️ 특히 ‘내가 보유 중인 종목’은
즐겨찾기나 관심종목에 등록해두고,
뉴스/공시 알림을 ON
해두면 편합니다.


🤔 장 마감 후 발표에 따른 대응 전략

📈 좋은 발표가 나왔을 경우:

  • ✔️ 다음 날 갭상승 가능
  • ✔️ 장전 매수 시 타이밍 유리
  • ✔️ 단, 너무 급등한 경우 ‘이익 실현 매물’ 경계

📉 나쁜 발표가 나왔을 경우:

  • ✔️ 갭하락 후 반등 여부 체크
  • ✔️ 이미 반영된 악재인지 확인
  • ✔️ 계속 보유할 기업인지 판단 후 정리 고려

✍️ 마무리하며…

주식 시장은
“장중에만 움직이는 게임”이 아닙니다.


진짜 중요한 발표는, 오히려 장 마감 후에 조용히 나오는 경우가 많아요.

그걸 모르고 투자했던 시절엔,
다음 날 아침에 충격만 받는 투자자가 되기 쉬웠고
지금은 매일 5시 이후, 10분만이라도 공시를 확인하면서
‘준비된 투자자’로 바뀌게 되었습니다.

 

혹시 아직 장 마감 후 발표들을 놓치고 있다면,
오늘부터는 하루 10분만 투자해보세요.
당신의 다음 매매는 더 정확해질 수 있습니다. 😊

+ Recent posts